[매슬로]인간은 왜 살아가는가 – 매슬로 『동기와 성격』
인간은 왜 살아가는가 – 매슬로 『동기와 성격』
“배고픈 사람은 시를 쓰지 않는다.
그는 빵을 갈망한다.”
– 에이브러햄 매슬로
심리학이 오랫동안
정신질환과 병리적 증상에만 주목하던 시대,
매슬로는 질문을 바꿨습니다.
“건강한 사람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동기와 성격(Motivation and Personality)』은
바로 그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이 책은
우리를 무너뜨리는 문제를 다루는 대신,
**우리를 일으켜 세우는 힘 – ‘욕구’와 ‘성장’**에 집중합니다.

---
1. 인간은 결핍에서 시작해, 성장으로 나아간다
매슬로는 ‘욕구 5단계 이론’을 통해
인간 동기의 구조를 설명합니다.
① 생리적 욕구 (물, 공기, 음식)
② 안전 욕구 (집, 질서, 안정)
③ 소속과 사랑의 욕구 (관계, 유대, 인정)
④ 존경 욕구 (자존감, 자기 가치)
⑤ 자아실현 욕구 (잠재력 발현, 창조성)
이 피라미드는 단순한 위계가 아니라,
결핍을 채우며 점차 인간다움에 도달해가는 여정입니다.
결핍은 동기를 만들고,
충족은 다음 단계로 이끕니다.
---
2. 자아실현이란 완성된 ‘내가 되는 것’
매슬로에게 자아실현은
성공이나 명성이 아닙니다.
그것은 내가 가진 가능성을, 온전히 살아내는 상태입니다.
자아실현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닙니다.
–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 문제 중심적으로 사고하며
– 타인에게 공감하면서도 독립적입니다.
– 유머는 있지만 조롱은 없고
– 깊은 몰입과 창조성을 경험합니다.
그는 말합니다.
“자아실현은 ‘비범한 삶’이 아니라,
‘진짜 삶’이다.”
---
3. 결핍동기와 성장동기 – 우리는 무엇에 이끌리는가?
매슬로는 인간의 동기를
두 가지로 나눕니다.
결핍동기(deficiency motivation):
채워야 할 것에 대한 욕구.
굶주림, 외로움, 불안…
성장동기(growth motivation):
더 나은 내가 되고 싶은 욕구.
창조성, 배움, 의미…
전자는 결핍을 피하려는 에너지,
후자는 무엇이 되려는 에너지입니다.
오늘 당신을 움직이는 것은 무엇인가요?
결핍인가, 성장인가?
---
4. 심리학은 ‘병든 사람’만을 보아선 안 된다
『동기와 성격』은
심리학의 시선을
정신질환에서 정상적인 인간으로 확장시킨 혁신적 책입니다.
그는 프로이트를 존중하면서도 이렇게 말합니다.
“정신분석은 지하실을 잘 설명했지만,
거실 위의 다락방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매슬로는
우리 안의 병이 아니라,
우리 안의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그 가능성은 누구나 가지고 있으며,
환경과 경험, 믿음에 따라 열릴 수 있습니다.
---
5. 나는 지금, 어디쯤 와 있는가?
『동기와 성격』은
그저 심리학 이론서가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 삶에
“나는 지금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
“나는 누구로 살아가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게 만듭니다.
매슬로는 말합니다.
“자아실현은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걸어가는 것이다.”
오늘도
내 안의 결핍을 들여다보면서도,
그 너머의 가능성을 향해 나아가는 것.
그것이 인간이라는 존재의 아름다움입니다.
---
>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댓글 남겨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