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주제의 콘텐츠를 알기 쉽게 : 시사,공익,문화,인문,일상
매일매일 굿데이

인문,고전,철학,독서,위인,자기계발

[대니얼 길버트]행복은 왜 자꾸 엇나가는가 – 대니얼 길버트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굿 데이 2025. 5. 16. 08:38

행복은 왜 자꾸 엇나가는가 – 대니얼 길버트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우리는 늘 행복을 좇지만, 정작 그 자리에 서면 당황합니다.”
행복을 향한 인간의 집착과 착각,
그리고 뇌의 교묘한 속임수를
대니얼 길버트는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를 통해 날카롭게 파헤칩니다.

이 책은 단지 ‘행복해지는 법’을 말하는 자기계발서가 아닙니다.
우리가 왜 행복을 예측하는 데 자꾸 실패하는가에 대한
과학적이고도 철학적인 통찰입니다.


---

1. 우리는 미래의 행복을 정확히 예측하지 못한다


“내가 저 일을 하면 분명 행복할 거야.”
“이 선택만은 절대 후회하지 않을 거야.”

하지만 놀랍게도, 대부분의 예측은 빗나갑니다.
왜일까요?
길버트는 말합니다.
“우리는 과거를 잘못 기억하고, 현재를 과장하며, 미래를 오해한다.”


뇌는 늘 현재의 감정을 기준 삼아 미래를 상상합니다.
그래서 슬플 때는 미래도 슬프고,
행복할 때는 모든 게 잘 풀릴 거라 믿죠.

하지만 실제로 그 미래가 왔을 땐
전혀 다른 감정이 우리를 맞이합니다.


---

2. 기억은 조작된다 – 그래서 우리는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길버트는 실험을 통해
**기억은 ‘재생’이 아니라 ‘재구성’**된다는 사실을 증명합니다.
기억은 감정과 기대, 맥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우리는 종종 과거의 기쁨을 미화하거나,
고통을 과장해 기억합니다.

그래서
“예전에 그걸 해서 행복했으니, 이번에도 그럴 거야.”
라는 믿음은 자기 기만에 불과할 수 있습니다.

행복은 반복되지 않습니다.
그 순간의 맥락, 감정, 주변 환경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죠.


---

3. 뇌는 현재에 집중하지 못하게 설계되어 있다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인간의 뇌가 미래를 상상하는 능력 때문에 오히려 현재를 놓친다는 점입니다.
“지금 이 순간이 행복하다”는 느낌보다
“앞으로 이 선택이 행복을 줄까?”라는 질문에 더 많은 에너지를 씁니다.

하지만 행복은 미래가 아닌
지금, 여기에 있는 감정입니다.

행복은 도달해야 할 목적지가 아니라
머무르는 법을 배워야 하는 감정입니다.


---

4. 진짜 나보다, 상상 속의 내가 결정을 내린다

예를 들어, 우리는 여행을 계획할 때
실제 내가 아닌, 상상 속의 내가 좋아할 것 같은 장소를 고릅니다.
그리고 실제로 가서는 “왜 이렇게 힘들지?” 하고 당황하죠.

길버트는 이 현상을
**‘심리적 시간 왜곡’**이라 설명합니다.
현재의 나는 미래의 나와 다르고,
미래의 나는 상상보다 훨씬 평범한 감정을 느낍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길버트는 조언합니다.
“미래를 상상하지 말고, 현재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선택을 참고하라.”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지금 그걸 실제로 경험하는 사람들의 후기가
훨씬 정확한 정보가 될 수 있다는 뜻이죠.


---

5. 진짜 행복을 위한 한 가지 조언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는
명확한 결론보다는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는 책입니다.

“당신은 지금 정말 행복한가?”
“그 행복은 당신이 상상한 그대로인가?”
“아니면, 행복이라는 단어에 속고 있는 건 아닐까?”

결국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행복해지기 위해 무언가를 하지 않는 것일 수 있습니다.
지금의 삶을 들여다보고,
불완전한 나를 인정하며,
그 위에 작고 단단한 행복을 쌓아올리는 것.

“행복이란, 그것을 향한 집착에서 자유로워질 때,
비로소 우리 곁에 머문다.”



---

>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댓글 남겨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유튜브 방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