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아 철학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놀라울 만큼 오늘날에도 유효합니다.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로마로 전해진 이 철학은, 인간이 외부의 사건보다 자신의 반응을 통제하는 데 집중할 때 진정한 자유와 평온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칩니다.

---
불확실한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철학, 스토아주의
어쩌면 당신도 이런 생각을 해봤을지 모릅니다.
“왜 세상은 내 뜻대로 흘러가지 않을까?”
“왜 나는 자꾸 분노하고, 불안해지는 걸까?”
스토아 철학은 이런 질문에 강력한 해답을 줍니다. 그것은 놀랍도록 간결합니다.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우리의 생각과 행동뿐이다.”
1. ‘내면의 평온’은 선택할 수 있다
스토아 철학은 외부 세계는 우리 손에 달려 있지 않다고 말합니다.
날씨, 타인의 행동, 운명… 이 모든 것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것이죠.
그러나 그에 대한 우리의 반응, 태도, 판단은 온전히 우리의 몫입니다.
에픽테토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 “외부의 일이 당신을 괴롭게 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에 대한 당신의 판단이 당신을 괴롭게 한다.”
2. 죽음을 두려워하지 말라
스토아 철학자들은 죽음을 ‘자연의 일부’로 받아들였습니다.
죽음은 나쁜 것이 아니라, 그저 삶의 일부일 뿐입니다.
죽음을 받아들이면, 우리는 더 용감하게, 더 진실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세네카는 다음과 같이 조언합니다.
> “죽음은 우리 삶의 마지막 행동이 아니라, 가장 중요한 행동 중 하나다.”
3. 덕(德)은 최고의 선이다
스토아 철학에서는 부, 명예, 쾌락보다 ‘덕’, 즉 정직함, 절제, 용기, 지혜 같은 가치가 가장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런 덕목은 오직 나의 의지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덕을 실천하는 순간, 우리는 어떤 외부 환경에서도 자유로운 존재가 됩니다.

4. 감정을 억누르기보다, 다스려라
스토아 철학은 감정을 ‘억압’하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감정을 ‘이성으로 이해하고 다스리라’고 가르칩니다.
분노, 질투, 두려움 같은 감정에 휘둘리는 대신, 한 발짝 떨어져 관찰하는 연습을 하라는 것입니다.
5. 매일 성찰하라
스토아 철학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황제였지만 매일 밤 일기를 쓰며 자신을 반성했습니다.
자신의 감정, 행동, 판단을 돌아보며 더 나은 인간이 되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그의 기록은 지금도 『명상록』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죠.

---
마무리하며
스토아 철학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무감정한 삶’을 추구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진정한 자유, 내면의 안정, 자기 통제를 통해 더 풍요롭고 깊이 있는 삶을 살도록 도와줍니다.
이 불확실한 세상에서
우리는 많은 것을 잃을 수 있지만
생각하는 방식만은 스스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스토아 철학은 그 선택의 무게를 일깨워줍니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우리가 진정 통제할 수 있는 유일한 ‘힘’임을 알려줍니다.
---
유튜브 방문하기 ♤♡◇♧☆
'인문,고전,철학,독서,위인,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강]고통을 쓰다, 치유를 엮다 – 한강의 문학 세계와 트라우마 (2) | 2025.04.18 |
---|---|
[독립유공]안중근과 윤봉길, 시대를 뛰어넘은 이름들 (2) | 2025.04.18 |
[여행]나만의 여행 영어 잘하는 5가지 (2) | 2025.04.17 |
[4월]4월은 잔인한 달 ? (0) | 2025.04.15 |
[로마]로마의 흥망사 (0) | 2025.04.15 |